본문 바로가기
노인 상담/노인의 가족 관계

8. 조부모 역할과 손주와의 관계 형성

by 결쟁이 2025. 2. 8.

1. 서론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는 가족 내 중요한 유대 관계 중 하나이며, 세대 간 정서적 지원과 가치 전수를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에서 조부모는 단순한 혈연관계를 넘어 정서적 지지자, 보육 제공자, 교육자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Bengtson, 2001). 특히 맞벌이 가정의 증가와 가족 구조의 변화에 따라 조부모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 형성은 세대 차이, 생활방식 변화, 교육방식 차이 등으로 인해 도전에 직면할 수 있다. 조부모가 전통적 가치관을 고수하려는 반면 손자는 현대적이고 디지털화된 환경에서 성장하며 생각이 바뀌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조부모와 손자녀 간 소통 방식, 놀이문화, 생활습관 등에서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조부모의 주요 역할과 손주와의 관계 형성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조부모의 주된 역할


1) 정서적 지지자


조부모는 손자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조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는 손자의 정서적 안정과 자아 존중감 향상에 기여하며, 손자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Kornhaber, 1996). 조부모는 부모와는 또 다른 방법으로 손자를 포용하고, 갈등이 없는 관계 속에서 손자의 감정을 존중하고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손자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 조부모는 신뢰할 수 있는 조언자로 기능할 수 있다.

 


2) 전통과 가치의 전달자


조부모는 가족의 역사와 전통, 문화적 가치관을 전달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특히 손자가 자신의 뿌리를 이해하고 가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조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연구에 따르면 조부모와의 지속적인 관계는 손자의 문화적 소속감과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Attar-Schwartz et al., 2009). 또 세대 간 경험 공유를 통해 손자는 가족의 가치관과 윤리의식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된다.

 


3) 보육·교육 지원자


현대 사회에서 맞벌이 가정이 증가함에 따라 조부모는 손주 돌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 조부모가 손자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손자의 언어 발달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Silverstein & Marenco, 2001). 그러나 조부모의 양육 방식과 부모의 양육 방식이 다를 경우 갈등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조부모는 손자에게 학습을 지도하고 창의력을 키우는 역할도 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놀이와 현대적인 학습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4) 가족 관계의 조정자


조부모는 가족 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가족 구성원 간 갈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부모와 손자녀 간의 갈등이 발생했을 때 조부모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조언을 제공하고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Fingerman et al., 2011). 조부모는 가정 내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세대 간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해야 한다.

 

 


3. 손자와의 관계 형성 전략


1) 질적인 시간을 보내는 방법


조부모와 손자 사이의 유대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물리적 동거가 아니라 질적 시간이 중요하다. 손자와 함께 책을 읽거나 야외활동을 하거나 창의적인 놀이를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에 따르면 조부모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손자는 정서적 안정감이 높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Neugarten & Weinstein, 1964). 조부모가 손자와의 관계에서 일방적인 지도를 하기보다는 손자가 원하는 활동에 관심을 기울이는 태도가 필요하다.

 


2) 손자의 관심사를 존중할 것


손자의 관심사를 존중하고 이를 함께 공유하는 것은 세대 간 유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손자가 관심 있는 취미나 활동(게임, 스포츠, 음악 등)에 대해 배우고 함께 참여하는 것은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만든다. 조부모가 손자의 세계를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일 때, 손자는 보다 편안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Hartnettal., 2014). 또 조부모가 손자의 기술적 관심사(코딩, 영상편집 등)에 호기심을 보이면 손자는 조부모와의 대화에서 보다 개방적인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

 


3) 디지털 기술의 활용


현대 사회에서는 조부모와 손자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디지털 기술(예: 화상 통화, SNS)을 활용해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조부모와 손자녀 간의 교류가 이루어질 경우 물리적 거리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유대감이 유지될 수 있다(Chopik, 2016). 조부모는 손주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위해 기본적인 디지털 활용 능력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

 


4) 부모와의 협력


조부모가 손자와 원활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부모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부모와 조부모가 손자녀 양육 및 교육 방식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때 손자녀가 혼란을 겪지 않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부모와 부모 간의 정기적인 대화를 통해 손자의 양육 원칙과 기대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Hughes et al., 2007). 또한 부모와 조부모가 손자의 규율과 가치관 형성에 있어 일관된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4. 결론


조부모는 손자의 정서적 지지자, 가치관 전달자, 보육 및 교육 지원자, 가족 관계의 조정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는 단순한 혈연관계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노력과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조부모는 손자와 질적인 시간을 보내며 손자의 관심사를 존중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부모와 협력해 일관된 양육 방식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조부모와 손자녀 간의 관계가 손자녀의 발달과 가족 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관계 형성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